본문 바로가기

벌거벗은 세계사 186회 리뷰: 프랑스와 미슐랭 가이드의 탄생 이야기

[ㅬ∴¸〕 2025. 1. 16.

tvN 예능 프로그램 벌거벗은 세계사 186회는 프랑스와 미슐랭 가이드의 탄생 배경을 다루며, 미식 문화의 발전사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냈습니다. 프랑스가 미식의 나라로 거듭나게 된 역사적 전환점과 미슐랭 가이드가 세계적으로 자리 잡은 과정을 다루며, 미식 문화가 어떻게 현대 사회의 한 축으로 발전했는지 보여줍니다.


프랑스 미식의 탄생과 발전

1. 중세 유럽과 프랑스의 요리 암흑기

프랑스는 처음부터 미식의 나라로 불리지는 않았습니다. 중세 유럽에서는 요리가 지배 계급의 권력 과시 수단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특권 계층의 요리 문화:
    귀족들은 공작, 백조 등 화려한 재료를 사용해 시각적으로 돋보이는 음식을 선호했으며, 음식의 맛보다는 화려함과 신분 차별을 나타내는 도구로 활용했습니다.
    당시 음식은 화려한 향신료를 첨가해 시각적 만족감을 주었으나, 실제 맛은 뒤떨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손으로 먹는 식문화:
    귀족들은 음식을 손으로 집어먹었으며, 시종들이 칼로 자른 고기를 세 손가락으로 우아하게 집어 먹는 방식이 주류였습니다. 이는 당시 프랑스 식문화의 제한적인 발전을 보여줍니다.

벌거벗은 세계사 포스터

✅벌거벗은 세계사 보러가기

반응형

2. 이탈리아의 미식 문화 도입

프랑스 미식 문화의 발전에는 이탈리아에서 온 카테리나 데 메디치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녀는 프랑스 왕비로서 이탈리아의 식문화를 프랑스로 들여왔습니다.

  • 이탈리아 셰프와 식문화 도입:
    카테리나는 전속 셰프와 이탈리아식 식기를 프랑스로 가져와 프랑스 귀족 식문화에 혁신을 일으켰습니다. 특히, 포크와 채소 사용이 보편화되며 기존의 육식 위주 문화가 다채롭게 변화했습니다.
  • 프랑스 요리의 체계화:
    1651년 발간된 라바렌느의 요리책 프랑스 요리사는 프랑스 요리법을 체계화했으며, 채소를 활용한 다양한 요리가 대중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요리의 맛과 품질을 강조하는 미식 문화로의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3. 루이 14세와 프랑스 미식 황금기

태양왕 루이 14세는 프랑스 미식 문화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미식을 권력의 도구로 활용하며, 궁정 요리를 발전시켰습니다.

  • 궁정 요리의 발전:
    루이 14세는 자신의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수백 명의 귀족을 초대해 12시간이 넘는 만찬을 개최했습니다. 이로 인해 프랑스 최고의 요리가 개발되고, 요리사들의 창의력이 발휘되었습니다.
  • 농장과 오렌지 재배:
    루이 14세는 베르사유 궁전 내에 농장을 세워 신선한 재료를 직접 공급받았으며, 이는 프랑스 미식 문화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습니다.

✅벌거벗은 세계사 보러가기

미슐랭 가이드의 탄생

1. 자동차와 미슐랭 가이드의 시작

앙드레 미슐랭과 에두아르 미슐랭 형제는 자동차의 보급화와 함께 미슐랭 가이드를 발간했습니다. 초기에는 자동차 여행 안내 책자로 시작된 이 가이드는 이후 프랑스 미식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 자동차 여행을 위한 가이드북:
    미슐랭 가이드는 초기에는 도로, 정비소, 숙박시설, 주유소 정보를 제공하며 자동차 여행을 장려하는 목적으로 배포되었습니다.
  • 유료화와 레스토랑 평가 도입:
    1926년부터 미슐랭 가이드는 레스토랑 평가를 추가하며, 평가단을 통해 엄격한 기준으로 등급을 매겼습니다. 이는 미슐랭 가이드가 단순한 안내 책자를 넘어 미식의 권위로 자리 잡게 된 계기였습니다.

2. 세계적인 미슐랭 가이드로의 성장

미슐랭 가이드는 프랑스를 넘어 세계적으로 확장되며, 미식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 미슐랭의 국제적 확장:
    20세기 중반부터 미슐랭 가이드는 유럽을 넘어 미국, 일본, 홍콩, 한국 등으로 범위를 확대했습니다.
    현재 한국에서도 미슐랭 스타 레스토랑이 운영되고 있으며, 세계적인 미식 문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 논란과 비판:
    미슐랭 가이드는 셰프들에게 큰 압박을 주는 동시에 평가의 불투명성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프랑스의 3스타 셰프였던 베르나르 루아조는 별 강등 루머로 극단적인 선택을 하며, 미슐랭 가이드가 셰프들에게 주는 압박이 문제로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벌거벗은 세계사 보러가기


결론

벌거벗은 세계사 186회는 프랑스 미식 문화의 탄생과 발전, 그리고 미슐랭 가이드가 미식 문화에 끼친 영향을 깊이 있게 다루며, 현대 미식 문화의 근원을 탐구했습니다. 프랑스 대혁명, 루이 14세의 궁정 요리, 그리고 자동차와 함께 발전한 미슐랭 가이드는 단순한 미식 가이드를 넘어 세계 미식 문화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미슐랭 가이드가 가져온 긍정적인 영향과 논란은 미식 문화가 단순히 먹는 행위를 넘어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소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앞으로도 미슐랭 가이드가 미식 문화를 어떻게 발전시키고 변화시킬지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